서울

[서울 종로구] 인사동거리, 경복궁, 청계천

어바너드 2022. 4. 14. 16:56
반응형

인사동(仁寺洞)
-인사동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법정동이다. 행정동인 종로동 산하에 있으며, 인사동네거리를 지나 안국동 로터리로부터 종로2가의 탑골공원까지의 구역을 말한다. 주요 거리는 조선시대 형성된 길이 0.7km의, 너비 12m의 인사동길이 있다.

 

 

동십자각(東十字閣)
-동십자각은 1880년(고종 17년) 경복궁 동남쪽 모서리에 설치했던 망루이다. 1972년 8월 30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으나, 대한민국 사적 117호인 경복궁에 포함되어 있어 2006년 8월 28일 지정이 해제되었다.

 

 

경복궁(景福宮, 영어: Gyeongbokgung Palace)
-경복궁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청와대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다. 태조 4년인 1395년 창건되어 1592년 임진왜란으로 전소되었고, 1868년 흥선대원군의 주도로 중건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훼손되어 현재 복원사업이 진행중이다.

 

 

근정전(勤政殿)
-근정전은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의 정전으로, 다포계 팔작 지붕의 중층 건물이다. 현재 근정전은 국보 223호로 지정되어 있는 현존하는 한국 최대의 목조 건축물 중 하나이다. 1395년 조선 태조가 조선의 정궁으로 경복궁을 조성할 때, 중추를 이루는 건물로 중건되었다. 임진왜란 시기 경복궁 전반이 불에 타면서 같이 소실되었다가 1868년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공사 때 다시 세워졌다.

 

 

흥례문(興禮門)
-흥례문은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과 근정전의 정문인 근정문 사이에 있는 중문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목조 건물이다. 원래는 1426년(세종 8년)에 집현전에서 ‘예禮를 널리 편다’는 뜻의 홍례문弘禮門으로 이름을 지어올렸는데, 1867년(고종 4년)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청나라 건륭제의 휘 홍력弘曆을 피휘하여 지금의 흥례문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청계천
-청계천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내부에 있는 지방하천으로, 한강 수계에 속하며 중랑천의 지류이다. 최장 발원지는 종로구 청운동에 위치한 ‘백운동 계곡’이며, 남으로 흐르다가 청계광장 부근의 지하에서 삼청동천을 합치며 몸집을 키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