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울] 이촌한강공원, 여의도 63빌딩/콘래드 서울 호텔/파크원/더현대서울

어바너드 2023. 1. 17. 17:01
반응형

이촌한강공원(https://hangang.seoul.go.kr/archives/46695)

 

공원안내 < 한강사업본부, 한강공원

이촌 한강공원 공원안내

hangang.seoul.go.kr

 

-이촌한강공원은 금호동의 중랑천교와 이촌동의 원효대교 사이 강변 북단에 위치해 있다. 인접한 자치구로는 성동구 금호동 4가부터 옥수동을 포함하여 용산구 보광동, 서빙고동, 이촌 1, 2동이 있다. 호안가 주변을 따라 갈대, 억새, 코스모스가 철따라 피어나서 시민들의 산책과 조깅코스로 자주 이용된다.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광장과 X-게임장, 국제규모의 인라인스케이트장, 농구장, 테니스장, 게이트볼장 등의 운동경기장 등이 여가 및 레포츠 공간으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한강도하체험장이 생겨 개인, 직장, 학교 등 단체생활의 팀웍훈련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면 적 : 922,185㎡ (노들섬 120,462㎡ 미포함)
길 이 : 10.2㎞ (금호동 중랑천교 앞 ~ 이촌동 만초천교 앞)
이촌안내센터 주소 : 서울시 용산구 이촌로72길 62 (이촌동 302-17)
이촌안내센터 : ☎ 02)3780-0551~5

 

 

여의도

-여의도는 서울특별시 소재 한강에 위치한 섬이다. 일종의 하중도이며, 너섬이라고도 부른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속하며, 여의동이 관할한다.

 

원효대교(元曉大橋)

-원효대교는 서울특별시의 한강에 위치한 다리이다. 용산구 원효로4가와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잇는다. 1978년 7월에 착공, 1981년 10월 27일에 완성되었다. 폭은 20미터 (차도폭 15.4미터, 보도폭 4.6미터[에, 4차선 규모로 총연장 1,120미터 길이를 지니고 있다. 원효대교는 지보공이 없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대교량이다. 원효대교는 독일의 디비닥 공법 및 프리 캔틸레버 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되었다. 원래 동아건설(주) 에서 건설했다. 서울특별시는 대한민국 최초로 디비닥 공법을 도입하여 건설한 원효대교를 보존가치가 충분하다고 여겨 서울시미래유산으로 선정하였다. 원효대교 남쪽에 63빌딩이 있다.

 

 

 

 

 

여의도 63빌딩(63 스퀘어): https://www.63art.co.kr/home/63ART/main.do

 

63아트

 

www.63art.co.kr

 

-63빌딩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있는 마천루이다. 이전 명칭은 '한화 63 시티이'고 지상높이는 249m, 안테나 높이를 포함할 경우 지상높이는 274m다. 리첸시아 타워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다.

 

 

콘래드 서울: https://www.conradseoul.co.kr/hub/ko/main.do

 

CONRAD SEOUL_MAIN

 

www.conradseoul.co.kr

-콘래드 서울은 한국의 월스트리트라고 불리는 여의도 비즈니스지구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는 최고급 비즈니스호텔로서 많은 행사를 성공적으로 유치하고 있습니다.

 

 

파크원(영어: Parc One, Parc.1)

-파크원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조성된 마천루 단지이다. 영국의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가 설계를 담당했다. 2개의 동과 호텔 1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워 A가 지상 69층, 333m, 타워 B가 53층, 256m의 초고층 건물로 완공되었다.

 

 

 

더 현대 서울: https://www.thehyundaiseoul.com/

 

미래를 향한 울림, 더현대 서울

현대백화점이 선보이는 미래형 플래그십 스토어

www.thehyundaiseoul.com

 

-더 현대 서울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파크원에 위치한 현대백화점의 플래그십 점포이다. 영업면적 2만7000평으로, 서울 내 단일건물로 가장 규모가 큰 백화점이다. 전국의 백화점 매장 면적 규모로는 일곱 번째로 크다.

더현대 서울은 현대백화점이 2015년 판교점 이후 5~6년 만에 선보이는 열여섯 번째 점포이다. 2016년부터 준비해온 중요한 역점 사업으로, 현대가 파크원에 임차한 점포이다.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이 더현대 서울을 대한민국 최고의 랜드마크이자 그룹의 위상을 한단계 업그레이드하는 플래그십 스토어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정지선의 야심작이라고 볼 만하다. 정지선 회장은 이후 더현대서울의 성공과 ESG 운영 성과를 인정받아 한국 경영자 상을 수상하였으니 야심작을 넘어 대표작이라고도 볼 수 있다.

오픈 1년 만에 매출 8005억 원을 기록하며 오픈 매출 기록을 경신하고 2022년 한해에 1조에 근접한 9500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대기록을 세우며 역대 최단 기간 연매출 1조 백화점의 유력한 후보로 뽑히고 있다. 파격적인 내부 공간과 시설, MD 구성 등으로 화제를 모으며 다수의 언론과 패션 유통지로부터 백화점의 미래를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출처: 나무위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