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울 용산구 용산동] 남산타워, 회현시민아파트, 힐튼호텔, 숭례문

어바너드 2022. 7. 25. 19:21
반응형

N서울타워(영어: N Seoul Tower)
-N서울타워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2가 남산 정상 부근에 위치한 전파 송출 및 관광용 타워이다. 1969년에 착공하여 1975년 7월 30일 완공되었다. 높이는 236.7m, 해발 479.7m이다. 수도권의 지상파 방송사들이 이 타워를 이용하여 전파를 송출한다. 전망대에서 서울 시내 전역을 내려다 볼 수 있으며, 맑은 날씨에 찾는 관광지로 잘 알려져 있다. 남산에 있어서 보통 남산타워라고 널리 부르고, 서울에 있어서 서울타워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행정안전부에 등록된 정식 명칭은 YTN서울타워이다.

 

 

<목멱산 봉수대 터>

목멱산 봉수대 터는 서울특별시 남산 정상에 있던 봉수대 터이다. 1993년 9월 20일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14호로 지정되었다. 남산 봉수대는 서울 남산에 있다고 하여 일명 경봉수라고 하며, 조선 시대 전국 각지의 봉수를 매일 받아 병조에 보고하는 중앙 봉수소였다.

 

 

<회현 제2차 시민 아파트>

회현 제2차 시민(시범) 아파트는 현재 서울특별시 내에서 마지막으로 지어진 시민아파트이며, 금화시민아파트가 2015년 철거되면서 마지막으로 남은 시민아파트가 되었다. 이 아파트는 여러 가지 의미를 담고 있는데, 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로 부실성이 크게 대두되었던 시민아파트 시대의 폐막을 알리고, '부실시공 관행을 뿌리뽑겠다'는 서울 행정당국의 결연한 의지를 나타내기도 했다. 세대 내부 모습은, 2009년 방영된 무한도전 여드름 브레이크 특집과 2016년 무한도전 무도리GO 특집에도 공개되었다. (출처: 나무위키)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은 학교 교육 및 정보화 지원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서울특별시교육청 산하기관이다.

 

 

<밀레니엄 힐튼 서울> (https://hilton.co.kr/hotel/seoul/millennium-hilton-seoul)

비즈니스 및 휴가를 위한 이상적인 공간
남산 기슭에 자리잡은 밀레니엄 힐튼 서울은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비즈니스, 문화, 역사, 쇼핑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중심지는 약 15분 거리 이내에 있으며, 인천국제공항에서도 1시간 이내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밀레니엄 힐튼 서울에서는 모든 고객들이 다채로운 요리를 즐길 수 있도록 3개의 레스토랑, 바 그리고 델리를 갖추고 있습니다. 뷔페 및 일품요리를 선보이는 컨템퍼러리 올데이 다이닝 레스토랑 카페395와 다양한 테마로 구성된 2개의 팝업 레스토랑, 그리고 바와 델리에서는 커피 및 주류와 디저트를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고객의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해 초고속 인터넷을 기본으로 각종 장비가 설치된 비즈니스 센터와 8개의 회의실 그리고 1,000여명 수용 가능한 고품격의 그랜드볼룸까지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외에도 최첨단 운동 장비를 구비한 휘트니스 센터, 사계절 이용 가능한 전천후 실내 수영장 및 에어로빅 스튜디오, 실내 골프 연습장 및 남산 전경이 내려다 보이는 남녀 사우나, 스파 시설까지 다양하게 갖추고 있습니다.

 

 

<숭례문(崇禮門)>

숭례문은 조선의 수도였던 서울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남쪽의 대문이다. 흔히 남대문(南大門)이라고도 부른다. 남대문이라는 명칭을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붙였기 떄문에 숭레문이라고 부르는 것이 옳다. 원래는 '예를 숭상하는 문'이라는 뜻을 가진 '숭례문'인데,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우리의 정기를 훼손하고 우리의 유산을 폄하하고자 단순히 방향을 지칭하는 남대문이란 이름으로 바꾼 일제의 잔재가 남아있는 이름이기 때문이다.

 

서울 4대문 및 보신각(普信閣)의 이름은 오행사상을 따라 지어졌는데, 이런 명칭은 인(仁: 동), 의(義: 서), 례(禮: 남), 지(智: 북), 신(信: 중앙)의 5덕(五德)을 표현한 것이었으며, 숭례문의 '례'는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숭례문의 편액은 《지봉유설》에 따르면 양녕대군이 썼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설이 많다. 1396년(태조 5년)에 최유경의 지휘로 축성하였다. 1447년(세종 29년)과 1479년(성종 10년) 고쳐 지었다.

반응형